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 2025년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참여 스타트업 모집 공고 알아보기

by y2ryang 2025. 4. 2.
반응형

[경기] 2025년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참여 스타트업 모집 공고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은 기업이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외부의 아이디어, 기술, 자원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내부 역량과 외부 혁신을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목차

1. 오픈 이노베이션의 주요 모델

2.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용한 국내 스타트업 사례

3.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오픈 이노베이션 성공 비결

 

1. 오픈 이노베이션의 주요 모델


아웃사이드 인(Outside-In) 혁신: 외부의 아이디어, 기술, 지식을 내부로 도입하여 혁신을 이루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기업이 스타트업이나 연구 기관과 협력하여 신기술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 인사이드 아웃(Inside-Out) 혁신: 내부에서 개발한 아이디어나 기술을 외부와 공유하거나 판매하여 상업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업이 자체 개발한 기술을 스핀오프 벤처에 라이선스하는 경우이다.

 

    결합된(Coupled) 혁신: 기업과 외부 파트너가 공동으로 혁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협력적 파트너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업과 대학이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협업 혁신 네트워크(Collaborative Innovation Network):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개인이나 조직이 협력하는 네트워크입를 말한다.

 

2. 오픈 이노베이션을 활용한 국내 스타트업 사례


  • 와들(Waddle): 커머스 유저와 대화하는 AI 점원 솔루션 '젠투'를 개발하여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성과를 거두었다.
  •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금융 빅데이터 AI 분석 기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며,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혁신을 이루었다.
  • 후시파트너스(HooXi Partners): 클라우드 기반 탄소회계관리 솔루션 '넷지'를 개발하여 환경 분야에서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3.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오픈 이노베이션 성공 비결


  • 명확한 목표 설정: 협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성과와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상호 이해와 신뢰 구축: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 명확한 의사소통: 서로의 기대와 요구 사항을 솔직하게 공유하여 원활한 협업을 도모해야 한다.

    경기도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중견·중소기업과 협업하여 기술 검증 및 미래 신성장 발굴을 지원하는 '2025년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모집하고 있다.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참여 스타트업 모집 포스터

 

 

 

 

    • 소관부처/지자체
      : 경기도 (바로가기)

    • 사업수행기관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바로가기)

    • 신청기간
      : 2025.03.25 ~ 2025.04.10

    • 사업개요
      : 2025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은 대ㆍ중견기업과 도내 유망 스타트업 간 개방형 혁신 협업으로 기술검증 및 미래 신성장 발굴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경기도 소재 사업자 등록을 완료한 설립일 7년 이내 창업기업

 

          ☞ 대ㆍ중견ㆍ중소기업과 1:1밋업 및 매칭 협업 기회 제공 지원

 

          대ㆍ중견ㆍ중소기업과 협업 지원금(PoC) 1천만원 지원

 

          2차 PoC 모집 지원 자격 부여(기업당 지원금 최대 2천만원 지원), 기업성장 Value-up 액셀러레이팅, 우수 스타트업 투자 및 TIPS 연계

    • 사업신청방법
      : 온라인 접수 (민간주도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사업 사이트)
    • 사업신청 사이트

 

    • 문의처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오픈이노베이션팀 031-780-9046, songhi@ccei.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