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공공배달앱'을 한곳에서 볼 수 있도록 공공배달 통합포털을 구축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통합포털 출범을 계기로 공공배달앱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인증하는 5만 명에 대해 선착순으로 할인쿠폰 3,000원을 지급하는 행사를 4월 7일부터 진행한다.
목차
1. 공공배달앱 개요
공공배달앱은 공공기관(농림축산식품부 등)과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운영을 하는 배달주문 플랫폼이다.
공공배달 통합포털에서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공공배달앱을 한 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구현되는 반응형 웹으로 구축한 바, 앱이 설치된 경우 바로 실행된다.
특히 지역별 공공배달앱에서 제공하는 각종 혜택을 확인·비교할 수 있는데, 한 달 동안 시범운영을 거쳐 향후 정식 운영할 계획이다.
2. 민간배달앱과 공공배달앱의 비교
항목 | 민간배달앱 | 공공배달앱 |
운영주체 | 민간기업 | 공공기관 또는 지자체 |
중개수수료 | 6 ~ 12% + 광고비 | 0 ~ 2% |
결제수수료 | 3% 내외 + 정산 수수료 | 카드사 수수료 0.5 ~ 1.5% |
광고비 | 매월 수십만원 이상 | 없음(무료 입점) |
소비자혜택 | 광고주 중심 쿠폰 | 지역화폐, 쿠폰, 무료배송 |
3. 공공배달앱 지역별 현황
현재 12개 시도, 35개 시군구에서 12개 사가 각각 공공배달앱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지역 공공배달앱 알아보기 👆
4. 공공배달앱의 장점
(1) 입점업주
▶ 각종 수수료 부담 ↓
▶ 수익 증대
▶ 지역화폐 연동 시 소비자 할인에 의한 매출 증대
(2) 소비자
▶ 앱 이벤트 중복적용 가능
▶ 지역화폐 사용시 실질 구매가격 하락
▶ 배달 팁 절감 또는 무료배송 혜택
5. 입점예정 사장님들을 위한 안내
(1) 입점 전 준비사항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유효한 사업자등록증 준비
▶ 메뉴 및 가격표
: 최신 메뉴와 가격이 반영된 자료 제출
사진 첨부 시, 고화질 이미지 사용 권장
▶ 가게 정보
: 상호명, 주소, 영업시간, 휴무일, 연락처 등을 정확히 입력
(2) 입점절차
▶ 해당 지역별 공공배달앱 클릭
▶ 가맹점 입점신청 바로가기 클릭
▶ 사업장 기본정보(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등) 및 메뉴사진 준비
▶ 메뉴 입력: 사장님 직접 또는 앱 전담 매니저
▶ 시범주문 테스트
▶ 자동 노출
(3) 정산
▶ 수수료는 대부분 카드 결제 수수료: 0.5 ~ 1.5%
▶ 지역별로 주 1 ~ 2회 또는 해당 영업일 다음 날 정산
▶ 이메일 또는 가맹점 홈페이지에서 정산내역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