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잠든 사이의 뇌과학: 꿈과 진화 편에서는 우리가 꿈을 꾸는 이유부터 진화과정까지 알아보자.
목차
무서운 사람에게 쫓기고, 치아가 우수수 빠지고, 사랑하는 사람을 두고 다른 이와 바람을 피우는 '나에게만 보이는 이상하고 기괴한 이야기'들이 왜 한밤중 우리 머릿속에 펼쳐지는 것일까? 일어나면 기억조차 잘 나지 않는 꿈, 우리는 대체 왜 꿈을 꾸는 걸까?
1. 꿈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우리의 뇌는 1,000억 개의 뉴런과 1,000억 개의 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뉴런 덩어리에는 전기가 흐른다. 이 과정에서 뉴런 덩어리에는 그 어떠한 유도나 외부 자극도 없다. 이를 자극 비의존적(stimulus-independent) 전기 활동이라고 한다.
꿈이 펼쳐지는 생생한 시각적 표현으르 경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현상이 수반되어야 한다.
첫째, 몸이 마비되는 것이다.
우리의 몸은 꿈을 꾸기 전에 근육을 활성화하는 척수 내 특수 세포인 '운동 뉴런'을 차단하는 글리신(glycine)과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이라는 두 가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 이를 통해 몸의 움직임을 억제한 덕분에 우리는 안전하게 꿈을 꿀 수 있다. 만약 몸이 마비되니 않는다면 꿈에서 펼쳐지는 상황대로 몸이 움직여 위험해질 수 있다.
둘째, 뇌의 수행 네트워크(Executive Network)가 꺼지는 것이다.
수행 네트워크는 뇌 양쪽에 위치해 논리, 질서 및 현실 감각을 담당한다. 수면 중 시간, 공간, 이성의 일반적인 규칙을 무시할 수 있게 되고, 기상천외한 꿈의 내용과 흐름을 의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꿈의 독특한 힘은 이러한 특성에서 나온다.
셋째, 우리의 주의가 내면을 향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주의가 내부로 향하게 되면 뇌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서로 다른 부분들이 활성화되는데, 이를 통칭하여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또는 상상력 네트워크(Imagination Network)라고 한다. 즉, 멍한 상태이거나 몽상에 빠졌을 때 활발해지는 뇌의 영역을 말한다.
상상력 네트워크는 우리 머릿속 어딘가에 흐릿하고 서로 관련이 없는 듯한 기억들 사이의 느슨한 연관성을 찾아내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시각화한다. 덕분에 꿈을 꾸는 뇌는 깨어 있는 뇌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유분방하게 사고할 수 있다.
2. 꿈을 만들어내는 상상력 네트워크
상상력 네트워크는 꿈이라는 경험의 핵심이다. 상상력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 생각이 즉흥적으로 떠오른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정신의학 교수인 에드워드 페이스-쇼트(Edward F. Pace-Schott)는 상상력 네트워크야말로 기억, 인물, 지식, 감정을 일관된 이야기로 이어주는 진정한 스토리텔링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인간의 뇌는 자신의 기억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을 때 그 간극을 메우기 위해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 덕분에 꿈속의 줄거리도 매끄럽게 흘러간다.
3. 아이들의 꿈은 어떻게 발달할까
꿈을 꾸는 능력은 발달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중요한 인지 기능 중 하나다. 사실 우리는 꿈을 꾸기 전에 걷고 말한다. 4세 전후로 시각적 공간 능력이 발달하면서 꿈을 꾸는 능력도 함께 발달한다.
<아이들은 언제부터 제대로 된 꿈을 꿀까?>
우리가 생각하는 꿈은 언어와 기억력이 아닌 시각적 공간 능력이 성장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시각적 공간 능력과 꿈은 모두 방향과 위치 감각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두정엽'이 관여하는데, 두정엽은 7세 전후까지 완전히 발달하지는 않는다. 또한, 꿈은 후두엽이 보고 두정엽이 느낀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여 몰입감 있는 시각적, 정서적 경험을 만들어내는 연합 피질의 복잡한 상관관계에 의존하는데, 이 영역도 발달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꿈을 꾸는 것은 자전적 기억과 정체성을 갖게 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인 우리의 자아감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훨씬 자주 악몽을 꾼다. 성장 환경과 무관하게 아이들의 꿈속에는 괴물이나 초자연적인 존재가 등장한다. 아이들에게 악몽만큼 자아감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꿈은 없다. 악몽에서 '나'는 대체적으로 공격을 받고 있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는 아이에게 '나는 세상에서 독자적인 위치와 의지를 가진 독립된 존재다'라는 개념을 심어줄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이다.
4. 꿈의 진화과정
<생존 중심의 꿈>
- 초기 인류의 꿈은 생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 주로 포식자나 위협에 대한 경고, 사냥 전략, 도망치는 시나리오 등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생존 확률을 높였다.
- 예를 들어, 사자가 자신을 쫓는 꿈을 꾸고 깨어난 뒤, 도망치는 기술을 터득하거나 방어 전략을 세우는 식이다.
<문제 해결 및 학습 도구로서의 꿈>
- 시간이 지나면서 꿈은 단순히 생존을 위한 본능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 및 학습 도구로 발전하였다.
- 뇌는 꿈을 통해 낮 동안의 경험을 정리하고, 새로운 전략을 시뮬레이션하면서 학습 능력을 강화하였다.
- 현대 연구에 따르면, 꿈은 기억을 통합하고 기억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예시:
- 낮에 경험한 어려운 문제의 해답이 꿈에서 떠오르는 경우
- 피아노 연습 후 꿈에서 손가락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고 기술 향상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 강화>
꿈은 점점 더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기능을 갖게 되었다.
- 사회적 관계나 집단 내에서의 역할을 시뮬레이션하고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특히 REM 수면 중의 꿈은 정서적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트라우마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예시:
- 친구와의 갈등이나 사랑의 문제를 꿈에서 재현하고 해소
- 타인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게 되는 기회 제공
✔️ 초기에는 생존 중심 → 문제 해결 및 학습 도구 → 정서적, 사회적 기능 → 창의적 상징 → 자기 탐색의 도구로 발전
✔️ 꿈은 단순한 뇌의 부산물이 아니라, 인간의 진화와 정신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