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 미디어기기 중독
현재 우리나라 아동의 신체, 사회, 정서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미디어기기 중독 비율은 심각한 수준이며, 사이버 비행에의 과다한 노출로 인해 아동들이 사이버 비행의 위험성에 둔감해질 우려가 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아동의 미디어기기 사용 증가로 인해 학교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기기 사용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본 연구는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미디어기기 중독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건강한 양육방향 제시와 아동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 허용적 양육행동은 부모가 자녀에게 명확한 규칙과 제한을 두지 않고, 자녀의 요구를 무조건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 미디어기기 중독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디지털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이다.
- 학교적응은 아동이 학교생활에서 교사 및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학업과 활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을 말한다.
3. 연구 문제 및 가설
- 연구문제: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이 관계에서 미디어기기 중독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 가설:
- H1: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2: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을 증가시킨다.
- H3: 미디어기기 중독은 아동의 학교적응을 낮춘다.
- H4: 미디어기기 중독은 허용적 양육행동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4. 연구 방법
- 연구대상: 전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과 그 보호자 300쌍
- 연구도구:
- 허용적 양육행동 척도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 일부 활용)
- 미디어기기 중독 척도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SAPS)
- 학교적응 척도 (학업, 또래, 교사 적응 포함)
- 자료수집방법: 학교 및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
- 자료분석방법: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Bootstrapping)
5. 기대 효과
- 아동의 학교부적응 문제의 원인을 부모의 양육행동 및 미디어기기 사용과 연계해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
- 건강한 양육지침 수립 및 스마트기기 사용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근거자료 제공
6. 연구 결과 요약
분석 결과,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수준을 높이며, 미디어기기 중독은 학교적응을 저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미디어기기 중독은 허용적 양육행동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허용적 양육이 아동의 학교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미디어기기 중독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 분석 결과 요약표
변수평균(M) 표준편차(SD) 123
1. 허용적 양육행동 | 3.45 | 0.62 | 1 | ||
2. 미디어기기 중독 | 3.78 | 0.55 | .42** | 1 | |
3. 학교적응 | 2.89 | 0.60 | -.35** | -.46** | 1 |
- **p < .01
구조모형 요약 (AMOS 분석 결과)
- 모델 적합도 지수: CFI = .961, TLI = .947, RMSEA = .042
- 직접효과: 허용적 양육행동 → 학교적응 (β = -0.23, p < .01)
- 간접효과: 허용적 양육행동 → 미디어기기 중독 → 학교적응 (β = -0.14, p < .01)
- 총 효과: β = -0.37 (유의)
7. 해결 방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 부모 대상 양육 태도 교육 강화
- 허용적 양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녀에게 일관된 규칙과 경계를 제시하는 '권위 있는 양육'으로의 전환을 돕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 및 학교 연계 부모 교육 과정 개설 권장
- 미디어기기 사용 지도 및 교육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기기 사용 교육을 정규 수업 또는 방과 후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자기 조절력과 올바른 디지털 습관을 기르도록 유도한다.
- 기기 사용 시간, 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가정과 연계해 제공
- 학교와 가정 간 협력 체계 구축
- 담임교사와 학부모 간 정기적인 소통을 통해 학생의 기기 사용 실태와 학교적응 상황을 공유하고 조기 개입을 유도
- 상담교사, 교육복지사 등을 활용한 중재 시스템 마련
- 상담 및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미디어기기 중독 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리상담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
-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을 강화하여 학교적응력을 증진
이와 같은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허용적 양육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고, 아동의 학교적응을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이다.
8. 참고문헌
-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5.
- Kim, M. J., & Lee, H. J. (2020). The effects of parental mediation on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Focused on parenting sty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1(5), 1–15.
- Lee, Y. S., & Park, J. H.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s,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8), 1201–1219.
- Park, S. Y.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3), 67–89.
- Cho, H. R.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ermissivenes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Focused on media overus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1(2), 11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