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육신1 조선왕조실록 500년 리더십: 세조(재위 1455~1468) 목차1. 진흙에서 찾은 보배, 한명회2. 살생부와 천지개벽3. 대세 장악 후 이미지 고양과 즉위4. 사육신과 생육신5. 역모로 몰린 한명회와 신숙주 세조는 결과중심적 리더였다. 사회적 가치와 자기 욕망이 충돌할 때면 사회나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자신의 욕망 추구를 합리화한다. 그 결과 과정의 정당성을 묻지 않고 승리의 쟁취에 전념한다. 태종의 아들 세종은 조선 최고의 성군이었으나 세종의 아들 세조는 가족을 제거하고 왕이 된 패륜의 군주였다. 태종과 세조는 여러모로 닮았다. 둘 다 장자가 아니라서 왕위 계승에서 밀렸지만 개인의 지략과 집념으로 왕이 되었다. 두 왕 모두 권력의 화신이라 할 만했다. 1. 진흙에서 찾은 보배, 한명회 태종이 즉위과정에서 형제를 없앴다면, 세조는 동생과.. 2025. 2.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