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1

화폐 경제: 화폐의 등장 Prologue    돈은 우리 생활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금융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는다.     OECD가 실시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16~65세 대상) 에서 대한민국의 문맹률은 0%에 가깝지만, 문해력으로 따지는 실질 문맹률은 75%에 육박한다는 충격적인 보고가 있다. 즉, 우리나라 국민의 75%는 "읽을 수는 있지만 뜻을 모르는" 실질 문맹이라는 뜻이다.   실질 문맹은 금융에 오면 더 심각해진다. 국한문 혼용의 언문이치와 영어권 표현이 혼재되었기 때문이다.   2021년 기준으로 페이스북에는 하루 4페타 바이트(100 기가 바이트 하드디스크 4만 개 분량)의 새로운 정보가 쏟아졌다.  해당 정보의 정확성과 진위여부도 문제지만 단편적인 "잡지식"일 뿐, "체계화된 지.. 2025. 4. 4.
트럼프 관세 전쟁 확대: 동맹도 예외 없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를 부과하였다.    이후 자동차 산업도 표적이 되었고, 나아가 반도체 산업까지 미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졌다.     2025년 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하였다. 이번 조치는 기존의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다수의 다운스트림 제품까지 관세 대상 품목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강 파생제품 167개, 알루미늄 파생제품 123개가 추가 관세 대상 품목으로 지정되었다.     트럼프식 관세 정책의 특징은 단순하다: “미국 우선(America First), 그 외는 없다... 2025. 4. 3.
아편전쟁 목차1. 한계효용체감의 법칙2. 가장 비열했던 무역3. 청의 몰락 1.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경제학에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19세기 독일의 경제학자 헤르만 고센(Hermann Gossen)의 이름을 따 '고센의 제1법칙'이라고도 불린다. 그 내용은 '같은 재화를 반복해서 소비할 때 개인이 느끼는 만족도는 점점 떨어진다'는 것이다.     배가 고플 때 짜장면을 먹으면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이다. 그런데 한 그릇을 먹고 나서 또 한 그릇을 먹으면 첫 번째 그릇만큼 맛있을 수가 없다.    수입이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증가하면 날아갈 듯 기쁘다. 하지만 수입이 1억에서 1억 1,000만 원이 되면 감흥조차 느끼지 못하게 된다. 같은 1,000만 원의 수입 증가가 다르.. 2025. 3. 17.
영란전쟁 목차 1. 유럽의 두 나라2. 최초의 주식회사3. 제로섬 게임(zero-sum game)4. 바다의 지배자 1. 유럽의 두 나라     유럽에는 바다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을 가진 두 나라가 있다.     유럽을 대표하는 섬나라로 한때 세계를 제패했던 영국과 네덜란드이다.     네덜란드의 영문 표기는 'Netherlands'이지만 네덜란드어로 표기하면 'Nederland', 즉 '낮은(neder) 땅(land)'이라는 뜻이 된다. 네덜란드 국토의 26%가 해수면 보다 낮다.     네덜란드인들은 바다를 댐으로 막은 뒤 바닷물을 퍼내 지금의 육지로 개척했다. 현재 국토의 상당 부분이 이렇게 만들어진 땅이다. 암스테르담(Amsterdam)이나 로테르담(Rotterdam)의 '담'이 들어간 곳들이 대표적.. 2025. 3. 16.
행동경제학 목차1. 행동경제학의 정의2. 행동경제학의 역사3. 행동경제학을 학습해야 하는 이유         경제학은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세상에는 두 개의 경제학이 존재한다. 하나는 주류경제학이고, 다른 하나는 행동경제학이다    주류경제학을 신고전학파 경제학 또는 전통경제학이라 부른다.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수요, 공급, 가격, 균형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엄청난 가정이 전제되어 있다. 바로 '인간은 항상 합리적 의사결정을 한다'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류경제학의 가정에 반대하는 또 하나의 경제학이 행동경제학이다.  1. 정의     행동경제학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심리학과 경제학이 결합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행동경제학이란 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경제적 선택.. 2025.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