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본위제2 미국의 달러 Prologue 1620년 9월 16일 영국의 플리머스(Plymouth)에서 102명의 승객과 약 30명의 선원을 태운 범선이 항해를 시작한다. 이 배는 이후 66일간의 긴 항해 끝에 11월 11일 아메리카 신대륙에 도착한다. 그 배의 이름은 바로 메이플라워(May Flower)호였다. 이들은 영국 제임스 1세의 종교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도피한 청교도들이었으며, 스스로의 질서와 안녕 유지를 위해 시민정치제도를 만들고 필요한 법률을 제정했다. 이는 향후 미국 역사의 토대가 된다. 목차1. 대륙지폐2. 달러와 금 1. 대륙지폐 영국은 식민지인 미국 내에 은행이 설립되는 것을 허락해주지 않았다. 그 때문에 식민지 시절의 북미 대륙에서는 영국이 발행한 식민지 화폐나 스페인 달러와 같은 외국 돈이 주.. 2025. 4. 6. 금본위제와 경제학의 태동 Prologue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본위제 화폐를 도입한 국가는 영국이며, 그 주인공은 천재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이다. 본위(本位)는 본래의 위치라는 의미로 '중심이 되는 기준'을 의미한다. 금본위 시스템에서 발급되는 주화는 그 자체가 금으로 만들어졌고, 지폐는 적힌 숫자만큼의 금이 실제로 보관되어 있다는 뜻이다. 금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것인가라는 원론적인 문제가 발생학게 되었다. 이에 '최적화'와 관련된 경제학이 태동하게 되었다. 목차 1. 금과 은의 싸움 2. 금본위제의 정착 3. 경제학의 태동 1. 금과 은의 싸움(1) 금과 은의 교환 비율 금과 은의 교환 비율은 인류 역사상 가장 .. 2025. 4.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