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K
비타민 K는 덴마크어 "koagulatio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응고를 뜻한다.
이 지용성 비타민은 적절하게 혈액이 응고되는 데 필요하다.
목차
1. 퀴논 인자
비타민 K는 필로퀴논(비타민 K1)과 메나퀴논(비타민 K2)을 포함하는 공통 화학 구조를 공유하는 화합물 계열이다.
비타민 K1은 녹색 채소와 같은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K2는 일부 동물성 제품에 함유되어 있고, 인간의 장내 세균이 합성한다.
대부분의 성인은 식사를 통해 비타민 K를 충분히 섭취하며 이 영양소의 결핍은 매우 드물다. 그러나 쿠마딘(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비타민 K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이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의 경우, 식품을 통해 일정하게 비타민 K를 섭취해 약물의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2. 충분 섭취량
- 남성 ▶ ▶ ▶ 75mcg
- 여성 ▶ ▶ ▶ 65mcg
- 임산부와 수유부 ▶ ▶ ▶ 65mcg
3. 급원 식품
녹색잎 채소는 비타민 K1의 가장 좋은 공급원이다.
육류, 치즈, 동물성 식품, 낫또와 같은 발효 식품은 비타민 K2를 함유하고 있다. 일주일의 며칠은 케일이나 근대를 먹고, 파슬리를 뿌리거나, 저녁식사에 브로콜리를 올리면 필요한 비타민 K를 섭취할 수 있다.
낫또(약 85g) | 850mcg | 채 썬 아이스버그 양상추(1컵) | 17mcg |
생 근대(1컵) | 299mcg | 생 캐슈넛(약 28g) | 9.7mcg |
생 파슬리(1/4컵) | 246mcg | 갈아서 구운 쇠고기(약 85g) | 6mcg |
생 케일 | 113mcg | 체다 치즈(약 42.5g) | 4mcg |
삶아 다진 브로콜리(1/2컵) | 110mcg |
4. 체내에서의 기능
비타민 K는 혈액이 적절하게 응고하는 데 필요하며, 비타민 K 의존성 카르복실화효소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이 효소는 응고 인자 II로 알려진 프로트롬빈 같은 혈액 응고 단백질의 생산에 관여한다.
뼈에 두 번째로 풍부한 단백질인 오스테오칼신은 다른 종유의 비타민 K 의존성 단백질이다. 오스테오칼신의 기능은 분명치 않지만, 골광화와 골격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비타민 K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골절 발생률이 낮아진다는 관찰 연구가 있다. 하지만 튼튼한 뼈를 만드는 비타민 K의 기능을 완전히 파악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비타민 K는 동맥에 칼슘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해 심장병 예방을 돕는다. 칼슘이 축적되면 죽상동맥경화증이 발생할 수 있고, 혈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5. 결핍증
비타민 K 결핍증은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지방 흡수 장애, 낭포성 섬유증, 셀리악병, 염증성 장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결핍이 나타날 위험이 있으며, 생후 첫 주에 조기 비타민 K 결핍성 출혈(VKDB; Vitamin K Deficiency Bleeding) 또는 생후 2주에서 12주에 후기 비타민 K 결핍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비타민 K 결핍성 출혈은 피부, 코, 머리뼈 안에서 발생할 수 있다.
☞ TIP
일부 허브와 향신료는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건조 세이지 한 스푼에는 비타민 K 34mcg이 들어 있으며, 이는 여성 충분 섭취량의 반이 넘는 양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B2 (1) | 2025.03.29 |
---|---|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B1 (0) | 2025.03.29 |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E (0) | 2025.03.28 |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D (1) | 2025.03.28 |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A (0) | 2025.03.28 |